역사교육학회 로고이미지

논문투고규정

  • 논문투고규정
  • >
  • 학회규정
  • >
  • HOME

『한국불교사연구』 논문투고 규정



논문투고규정 다운로드


논문투고 및 저작권이양 신청서

 

제 1조(원고제출기한)

  • 1.『한국불교사연구』는 연 2회 6월 30일, 12월 31일에 발간되고 각각의 원고의 투고 마감일은 4월 30일, 10월 30일입니다.
  • 2. 학술대회는 여름과 겨울에 연 2회 개최하며 학술대회 발표원고의 주제 및 제출기한은 본 학회 홈페이지(www.kbhi.or.kr)의 공지사항 게시판에 별도로 공고합니다.

제 2조(논문투고 및 저작권)

  • 본 학회의 홈페이지(www.kbhi.or.kr) 온라인논문투고 게시판에 투고논문을 올려주시면 학회에서 접수확인 회신을 합니다. 학술대회 발표원고 역시 동일합니다.
  • 논문 맨 하단에 별지로 투고자의 ① 성명(한자 및 영문로마자 표기) ② 소속 및 지위 ③ 연락처(전화, e-mail)를 반드시 명기해주시기 바랍니다.
  • 『한국불교사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에 귀속됩니다.

제 3조(논문체제 및 분량)

  • 1. 투고논문은 반드시 ① 국문요약 ② 주제어(8개 이내) ③ 본문 ④ 참고문헌 ⑤ 영문요약(Abstract) ⑥ 영문주제어(key-words 8개)의 체제를 갖추어야 합니다.
  • 2. 외국어로 된 논문의 투고를 권장합니다. 한국인이 투고할 경우 해당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전문학자의 교정(proof reading)을 받도록 요청하며 한국어 요약문을 첨부해야 합니다. 외국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외국인이 한국어로 된 논문을 투고할 경우에는 영문요약문을 첨부해야 합니다.
  • 3. 투고된 원고매수는 200자 원고지 기준 총 150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초과할 경우 투고자는 초과된 분량만큼의 게재비를 추가(원고지 5매당 10,000원)로 지불해야 합니다. 또한 투고된 원고매수가 200자 원고지 기준 총 150매의 분량보다 20% 이하이거나 이상일 경우는 투고가 거부될 수 있습니다.
  • 4. 한글요약은 600자 이내, 영문요약은 200단어 이내 분량으로 제한하며, 한글 및 영문 주제 어는 각 8개 내외이고 참고문헌 목록은 본문에 인용⋅참조된 문헌만을 수록합니다.

제 4조(논문작성형식)

  • 『한국불교사연구』 원고모집 규정의 준수사항에 부합하지 않은 원고는 투고를 유보할 수 있으니 다음의 내용을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지의 논문작성 형식은 한국불교학회의 편집규정에 준하고 있습니다.
  • 1. 논문작성 프로그램
  • 반드시 한글워드프로세서(한컴오피스)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용지설정 글자크기
    용지설정 : A4
    여백주기 : 왼쪽ㆍ오른쪽 50

    위쪽⋅아래쪽 : 50
    머리말 : 10
    꼬리말 : 20

    본문 글자크기 : 10p (들여쓰기 10mm)
    큰 제 목 : 14p (가운데 정렬)
    중간제목 : 12p (왼쪽 정렬)
    작은제목 : 11p (왼쪽 정렬)
    머리말⋅인용문⋅목차 : 9p
    각주 : 8p
    줄간 : 160%
    장평 및 자간 : 조정 없음
  • 2. 본문
    • 1) 국내 필자의 원고는 국문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어로 작성한 경우에 한국인의 경우 국문초록을 첨부한다. 외국인이 작성한 외국어원고의 경우에도 국문초록을 첨부한다. 저자가 2인일 경우 각각의 이름 뒤에 주저자와 교신저자를 표기한다.
    • 2) 본문의 장, 절, 항목은 각각 Ⅰ, 1, 1), (1), ① 등으로 표시한다.
    • 3) 논문심사 시 필자의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름은 별도의 표지에만 기록하며, 본문과 각주 어디에서도 필자를 짐작할 수 있는 '졸고' 등의 언급을 피한다.
    • 4) 표와 그림은 <표 1> <그림 1> 등으로 일련번호를 붙여 표기한다. 사용된 표와 그림의 저작권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필자가 책임진다.
    • 5) 출전을 표시할 경우 아래 2. 각주에서 제시하는 방법대로 언급하고, 자세한 서지정보는 논문 말미의 '참고문헌' 항에서 제시한다.
    • 6) 제명이 긴 문헌을 번번이 언급할 경우 약호를 사용한다. 한역(漢譯)원전의 경우 식별 가능한 약칭을 약호로 사용할 수 있다.
    • 7) 한자의 경우 다음의 표기를 따른다. (예) 한국불교사학회(韓國佛敎史學會)
    • 8) 영어의 경우 문화관광부고시 제2000-8호 2000.7.7.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다.
  • 3. 각주
    • 1) 출전은 각주(footnote)를 사용하며, 2자 내어쓰기를 적용하여 1), 2) 등으로 표기한다.
      -인용 문헌의 쪽수 표시는 'p.'를 사용한다. 단, 인용 문헌에서 '◯◯~◯◯'와 같이 2쪽 이상의 범위를 인용할 경우에는 'pp.'를 사용한다.
      -서구권 서명은 이탤릭체를 사용한다.
    • 2) 범어・빨리어 등의 원전을 권, 장, 절 등의 고유한 분류번호나 단락번호로 인용할 경우 그 번호와 판본의 페이지번호를 약호 다음에 제시한다. 단락번호가 페이지번호보다 정밀할 경우 페이지번호를 생략할 수 있다.
      (예) MN. Ⅲ, p.254 ; AKBh., p.137 ; BĀU., 4.4.5 ; Vism., p.234.
    • 3) 대장경을 인용하는 경우 학계에서 통용되는 약칭이나 약호를 사용하고 제명, 대장경, 권, 페이지, 단 등을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T를 『대정신수대장경』의 약호로 사용하는 경우, HD를 『한국불교전서』의 약호로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예) 『五分律』(T.22 또는 『大正藏』 22), p.375c.
    • 4) 인터넷에 전자출판된 문서 및 CD-ROM을 인용하는 경우 약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URL 정보 및 CD-ROM 정보는 '참고문헌'에 제시한다. 참고문헌에서 URL 정보를 제시할 경우에는 검색일을 명시한다.
      (예) PTS-CD.
    • 5) 각주에서 여러 권의 저서나 논문을 나열할 때에는 단락을 나누지 말고 쌍반점(;)으로 구분하여 연결한다.
    • [각주의 예시]
    • ▽ 저서
      김용표, 『불교와 종교철학』(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p.113.
      富創光雄 외, 『獻身』(東京: 弘文堂, 1975), p.57.(해외 문헌은 출판지 표시)
      Mircea Eliade, The Quest: History and Meaning in Religion(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9), p.23.
    • ▽ 번역서
      박성배, 『깨침과 깨달음』, 윤원철 옮김(예문서원, 2002), pp.21~23.
      G. van der Leeuw, Religion in Essence and Manifestation, Vol. 2, trans. by J. E. Turner(New York: Harper & Law, 1963), p.52.
    • ▽ 학위논문
      박선영, 「불교적 교육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동국대학교 대학원, 1979), p.23.
      Gray Alan Anderson, "Sacrifices and Offerings in Ancient Esrael: Studies in Their Social and Political Importance," Ph. D. Dissertation(Harvard University, 1985), p.3.
    • ▽ 정기 간행물의 논문 및 기사
      고영섭, 「탄허 택성의 생애와 사상」, 『한국불교학』 63(2012), pp.42~43.
      Ae Soon Chang, "A Note on the Concept of Sunyata in Huaya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19(2012), p.23.
    • ▽ 일간지
      배명복, 「탄허가라사대」,《중앙일보》2012.4.12.
    • ▽ 편집된 책 혹은 그 속의 글
      송석구, 「유⋅불 인간관의 동이」, 이기영박사 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엮음, 『불교와 역사』(한국불교연구원,1991), pp.178~179.
      Robert Wuthnow, "The Cultural Context of Contemporary Religious Movement," in Thomas Robbins and William C. Shepherd, eds., Cult, Culture, and Law(Chico, California: Scholar Press, 1985), pp.23~25.
    • ▽ 사료
      『朝鮮王朝實錄』권 7, 世祖 1年, 12月 3日.
      『대정신수대장경』/ 『大正藏』 (또는 T.25, no.523, p.542a).
    • ▽ 바로 앞에서 인용한 자료를 다시 인용한 경우.
      위의 책, pp.23~25. (단행본인 경우)
      위의 글, p.46. (논문인 경우)
      Ibid, pp.4~5.
    • ▽ 앞에서 인용한 자료를 뒤에서 다시 인용할 경우.
      이기영, 앞의 책, pp.23~25. (같은 저자의 글이 하나만 인용된 경우)
      임승택, 앞의 글, p.23.
      장계환, 『대승기신론의 세계』, pp.23~25.
      (같은 저자의 논저가 둘 이상 인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논저명까지 기재)
      Yadav, op. cit., pp.4~5.
      Swidler, The Study of Religion in an Age of Global Dialogue, p.23.
  • 4. 참고문헌
    • 논문작성의 일반적 약정에 따르며 특히 아래의 사항을 엄격히 준수한다. 이하 규정의 구체적인 방식은 [참고문헌 예시]를 참조한다.
    • 1)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의 자세한 서지정보를 논문말미의 '참고문헌'에 밝힌다.
    • 2) 약호를 사용하여 표시한 한문ㆍ서장어ㆍ빨리어ㆍ범어 원전의 서지정보를 약호와 함께 먼저 제시한다. 논문과 단행본 등의 문헌은 한국ㆍ일본과 중국ㆍ서구의 순서로 배치하며, 작자의 성을 우선순위로 하여 각기 '가나다 순' 또는 '알파벳 순'으로 제시한다.
    • 3) 같은 작자의 여러 문헌은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3인 이상의 공동저작인 경우 대표자의 성명 뒤에 '외 ○명'을 첨가하여 표시한다. 번역서도 이와 동일하게 표시한다.
    • 4) 번역서의 경우 음역으로 표기된 원저자의 성명과 번역서 제명을 먼저 제시한 다음에 번역자의 성명을 '아무개 역'과 같은 방식으로 제시한다. 또한 번역서의 서지정보 다음에 배열한다. 편저나 편역일 경우에는 편자의 성명 뒤에 '편'이나 '편역'을 첨가한다.
    • 5) 저서제목:동양어는 반각 겹낫표(『 』)로, 서양어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6) 논문제목:동양어는 반각 낫표(「」)로, 서양어는 한글자판의 따옴표(" ")로 표기하고, 각 주요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며, 논문이 수록된 페이지번호를 마지막에 표시한다. * 유의:낫표나 겹낫표는 전각이 아닌 반각문자를 사용해야 한다. 문서작성 시 글의 경우 설정에서 '겹낫표' 또는 '겹낫표 입력'을 선택하고 나서 한글자판의 「」 또는 『』를 사용한다.
    • [참고문헌 예시] T. : 『大正藏』
      HD. 또는 『한불전』 ; 『한국불교전서』
      X. : 『만속장경』
      MN. : Majjhima-nikāya, PTS.
      BĀU. : Bṛhadāraṇyaka-Upaniṣad.
    • -판본에 따른 서지정보는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약호 : 제명, 편(저⋅역)자, 발행장소, 출판사, 발행연도
      AkBh : Abhidharmakośabhāṣya, ed. Pradhan, Patna, K.P.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967.
    • -URL 정보 및 CD-ROM 정보는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SLTP : Sri Lanka Tripiṭaka Project.
      http://jbe.gold.ac.uk/ibric.html. 2005년 2월 24일 검색.
      PTS-CD : Pali Text Verson 1.0, Buddhist Canon CD-Rom, Dham makaya Foundation, Khlong luang, 1996.
    • -논문 및 단행본 등은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김성철,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Ⅲ」, 『韓國佛敎學』 50집, 한국불교학회, 2008, p.100.
      김상현, 『원효연구』, 서울, 민족사, 2000, pp.101~102.
      Oldenberg, H., The Vinaya Pitakam, London, Oxford: PTS, 1879.
    • -번역서는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카지야마 유이치, 『인도불교철학』, 권오민 역, 서울, 민족사, 1990.
  • 5. 기타
    • 1)쉼표(,) 마침표(.) 쌍점(:) 쌍반점(;) 등의 부호 다음에는 한 칸(자판의 스페이스바) 띄어쓰기로 통일한다.
    • 2)약호 등의 다음 숫자도 한 칸 띄어쓰기로 통일한다. 다만 문헌의 단락번호를 표시할 경우나 공동저자를 나열할 경우에는 붙여 쓸 수도 있다.
      (예) T.12, Vol.3 ; Mbh. Ⅱ, 33.29.
    • 3)논문에서 채택한 각주의 약정, 본문과 각주에서 사용하는 모든 부호는 반드시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제 5조(게재논문의 비용)

  • 본회는 『한국불교사연구』에 게재된 논문에 대해 원고작성요령(원고의 분량)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논문 게재료를 받는다.
  • 1) 한국연구재단, 각 대학교 등 연구비 지원을 받은 논문: 30만원
  • 2) 정년트랙 교수 논문: 10만원
  • 3) 초과 게재료: 200자 원고지 150매 초과 시 원고지 5매당 10,000원

부 칙

  • 1. 본 규정은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2. 본 개정규정은 2011년 12월 31일부터 시행한다.
  • 3. 본 개정규정은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